본문 바로가기

말하기

말이 오르면 나라가 오른다-임대와 임차 등

반응형


일전에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한 적이 있었다.
집주인과 직접 계약서를 작성했는데, 그가 임대인란에 자신의 이름을 써야 하는지 임차인란에 자신의 이름을 써야 하는지 몰라 당황하는 것이다.
아, 임대와 임차를 헷갈리는 사람도 있구나 했다.

임대와 임차


임대(賃貸): 돈을 받고 자기의 물건을 남에게 빌려 줌.
임차(賃借): 돈을 내고 남의 물건을 빌려 씀.
 
집주인은 당연히 임대인란에 자신의 이름을 적어야 한다. 아차, 잘못하면 빌리는 사람과 빌려주는 사람이 바뀌어 법적 문제까지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임대료와 임차료도 주어의 상황에 따라  걸맞게 써야 틀리지 않는다.
물건 주인의 처지에서 보면 임대료, 빌리는 처지에서 보면 임차료가 되는 것이다.

'가게는 적자를 면치 못했다. 경기가 나빠져 임대료조차 못 내고 있는 형편이다.'
'가게는 적자를 면치 못했다. 경기가 나빠져 임차료조차 못 내고 있는 형편이다.'
 
'이번 달엔 임대료를 올려 받아야 한다. 물가나 집값이 너무 올라 시세에 맞춰야 한다.'(○)


일화(逸話)는 유명하지 않은 이야기다


일화(逸話):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아니한 흥미 있는 이야기.
                '숨은 일화를 공개하다.'
                '일화 한 토막을 소개하다.'
 
이미 알려져 유명해진 이야기는 '유명한 이야기'라고 하든지 일화가 아닌 다른 말을 써야 한다. 
비화도 마찬가지다.
 
비화(祕話): 세상에 드러나지 아니한 이야기.
                '궁중 비화'
                ' 비화를 공개하다.'
 


반증과 방증


 반증과 방증도 많이 혼동해서 쓰는 말이다. 공부를 하기 전 필자 자신도 '반증'을 가리지 않고 사용했었다.
사전엔 아래와 같이 엄연히 다른 말로 올라 있다.

반증(反證):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주로 ‘-는/ -다는 반증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사실과 모순되는 것 같지만, 오히려 그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는 사실.
 방증(傍證):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줌. 또는 그 증거.
 
예) 연예인들까지 이 사건에 이름을 줄줄이 올리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도 마약 청정국이 이미 아님을 반증한다.
연예인들까지 이 사건에 이름을 줄줄이 올리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도 마약 청정국이 이미 아니라는 방증이.
 
    정치인들이 비속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지상파에서 쏟아내는 장면은 그들이 바닥까지 추락했다는 반증이다.
  정치인들이 비속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지상파에서 쏟아내는 장면은 그들이 바닥까지 추락했음을 증한다.
 
    이 고요함은 어떤 큰 사건이 터질 것이라는 반증이다. (○)
    그녀가 불같이 화를 내는 건 그를 사랑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반응형